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토목설계6

지반조사시 시추심도 기준 (KDS편) 지반조사 보고서에서 Boring hole log를 보면 시추 심도가 경암은 1m, 연암은 3m, 풍화암은 7m로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통상적인 길이로 인지하고 있었으나 근거가 궁금하게 되어 지반조사 시추 심도에 대한 기준을 찾아봤다. 1. 교량 하부구조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KDS 24 14 51 :2021 2.1.1 지반조사 (1) 지반조사는 기초의 설계와 시공에 필요한 각 지층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 수행한다. 조사의 범위는 지반조건, 구조물의 종류, 그리고 시공 요구 조건들에 따라 결정하며, 지층의 성질과 종류, 암반의 형태, 흙과 암석의 공학적 성질, 액상화 가능성, 그리고 투수 특성 등 지하수 상태 등을 조사한다. (2) 시추조사는 교각과 교대가 위치한 곳에서 실시한다. 지층의 종방.. 2023. 2. 21.
공작물 축조신고 방법 공작물 축조신고 방법 공작물 축조신고는 건축법 시행령 제118조와 건축법 시행규칙 41조에 따라 진행하면 된다. 작성일 기준 높이가 8미터 이상인 경우 구조안전 및 내진설계 확인서와 공작물 내풍설계 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 날인은 시행규칙 상 구조안전 및 내진설계 확인서에 건축구조기술사 또는 건축사 날인이 필요하다. 토목구조기술사는 지역마다 가능한 경우가 있으나 원칙적으로는 불가하다. 건축법 시행령 제 118조 제118조(옹벽 등의 공작물에의 준용) ① 법 제83조제1항에 따라 공작물을 축조(건축물과 분리하여 축조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할 때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를 해야 하는 공작물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높이 6미터를 넘는 굴뚝 2. 삭제 3.. 2023. 2. 7.
표토제거(top soil striping) 표준시방 내용 정리 국토교통부 -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를 확인하면 제 2 장 토공사 - 제 2 절토공에 표토제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3.3 표토제거 3.3.1 도면에 명시된 구역내의 본바닥 표토는 최소 100mm 깊이로 제거하여야 한다. 3.3.2 본바닥에서 제거된 표토는 공사에 지장이 없도록 감리자가 지정하는 장소에 임시 쌓기해 두어야 한다. 3.3.3 당초의 지반면이 노상면 또는 둑쌓기 비탈면 아래로 1.5 m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지표면에서 200 mm 깊이까지 그루터기와 뿌리는 완전히 제거하고, 1.5 m이상이면 지표면에서 150 mm 이내에서 수목과 그루터기를 절단하여야한다. 3.3.4 지정된 구역에 드리워진 수목의 가지는 02130 현장 준비공에 따라 조치하여야 한다. 02130 현장준비공 내용들 확인해보면.. 2023. 1. 26.
나라별 콘크리트 강도 시험 비교 나라별 콘크리트 강도 시험 비교 지역 코드 코드명 공시체 타입 공시체 사이즈 미국 ASTM C39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ylindrical Concrete Specimens Cylinder Diameter of Test Specimens [mm] 50/75/100/150/200 The length shall be measured to the nearest 0.05 D when the length to diameter ratio is less than 1.8, or more than 2.2, or when the volume of the cylinder is determined from measured dimensions. 한국 KS F 2405 KS F.. 2023. 1. 11.
말뚝의 스프링정수 산출 방법 - 스프링정수의 정의 말뚝머리에서 말뚝이 축 또는 축직각방향으로 단위변위량을 발생시키는 축방향력 - 말뚝의 축방향 스프링정수 도로교설계기준해설 p.887 참고 Kv = a (Ap x Ep) / L Kv : 축방향 스프링 정수 (kN/m) Ap : 말뚝의 순단면적 (m2) Ep : 말뚝의 탄성계수 (kN/m2) L : 말뚝 길이 (m) a : L/Db에 따른 상수 Db : 말뚝 직경 (m) 말뚝 종류 a 타입말뚝(타격공법) a = 0.014(L/Db)+0.72 타입말뚝(바이브로해머공법) a = 0.014(L/Db)-0.014 현장타설말뚝 a = 0.031(L/Db)-0.15 내부굴착말뚝 a = 0.010(L/Db)+0.36 프리보링말뚝 a = 0.13(L/Db)+0.53 쏘일시멘트말뚝 a = 0.040(L.. 2023. 1. 11.
Anchor to Anchor 설치 최소 간격 기준 KDS 14 20 54 콘크리트용 앵커 설계기준에 Anchor to Anchor 설치 최소 간격 기준이 명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Anchor Bolt 직경의 6배 이상으로 설계하면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4.6 쪼갬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연단거리, 앵커 간격, 두께 (1). 쪼개짐을 제어하기 위한 보조철근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앵커의 최소 간격과 연단거리 및 부재의 최소 두께는 (2)부터 (7)까지 규정에 따라야 한다. 혹은 별도의 제품 시험을 통해 더 작은 값을 사용할 수 있다. (2). (5)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 경우, 앵커의 최소 중심 간격은 비틀림이 가해지지 않는 선설치앵커에서 4da, 비틀림이 가해지는 선설치앵커 및 후설치앵커에서 6da이어야 한다. (3). (5)에 의해 결정되.. 2022. 9. 27.
반응형